STEEM POWER retention ratio of top 50 witnesses

by joviansummer original STEEMIT post: https://steemit.com/blog/@joviansummer/steem-power-retention-ratio-of-top-50-witnesses Hello, this is @joviansummer(witness: @jswit). Some time ago there was a bit of discussion on discord witness chanel about witnesses' power-down/cashing-out. So out of curiosity I just checked current ratio of witnesses' own STEEM POWER(VESTS) and all-time producer reward(VESTS). The ratio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simple formula: ratio(%) = account's own SP(MV) / all-time producer reward SP(MV) * 100% Ratio value less than 100% indicates power-down. If witness does additional power-up or gets other types of reward(e.g., curation reward), the ratio may exceed 100%. This does not take witness' other accounts into consideration. All-time producer reward data is from @steemchiller's SDS API. Here is the result: rank account own_sp prod_sp ratio 1 justyy 2188.411MV 1284.2MV 170.41% 2 steemchiller 982.134MV 124...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대기행렬(queue)로 사용

by joviansummer
original STEEMIT post: https://steemit.com/blog/@joviansummer/queue


파이썬의 리스트(list)를 대기행렬(queue)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기행렬은 저장된 데이터중에 가장 처음에 저장한 데이터부터 가져옵니다. 지난번에 포스팅했던 스택(stack)과는 반대 순서로 가져옵니다. 스택은 가장 나중에 저장한 데이터부터 가져오는 방식입니다. 파이썬 리스트를 스택으로 사용하는 내용은 아래의 링크입니다.

파이썬에서 스택(stack) 사용

대기행렬 사용은 스택과 동일한데, 데이터를 가져오는 pop() 함수에 가장 처음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인덱스를 지정해 주면 됩니다. 리스트에서 가장 처음에 저장(append)한 데이터는 인덱스 0번에 있습니다.

# 리스트 초기화
x = []
# 데이터 추가
x.append('abc')
x.append('def')

# 가장 처음에 저장한 데이터를 꺼내서 변수 y에 저장
y = x.pop(0)

위와 같이 하면 먼저 저장된 'abc'를 꺼내서 y에 할당하고, x에서는 'abc'가 제거됩니다.

print(x)

['def']

즉, append() 함수로 차례로 저장한 후에, 가져올 때 스택으로 사용하려면 pop(), 대기행렬로 사용하려면 pop(0)를 이용하면 됩니다.


@joviansummer의 스팀 프로젝트

스팀 증인노드를 운영중입니다. @jswit에 증인투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steemitwallet.com/~witnesses)

jswit 증인 노드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jsup 업보팅(upvoting) 서비스 소개

jsup 수혜자 지정 기능 추가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스티미언의 영향력 지수 계산

jsup/avle code update - you don't have to write post everyday

jsup/avle 보팅 코드 갱신 - 1일1포스팅 강박에서 벗어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