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 스팀 : 개발용 라이브러리(steem-python, beem)
- Get link
- X
- Other Apps
by joviansummer
original STEEMIT post: https://steemit.com/blog/@joviansummer/steem-python-beem
스팀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파이썬 라이브러리는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steem-python이고, 나머지 하나는 beem입니다. 아쉽게도 사용 설명서는 영어로 되어 있고 예제가 그리 풍부한 것이 아니어서 개발 여건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닙니다.
steem-python은 스팀의 공식 파이썬 라이브러리로, 당연히 스팀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beem은 스팀, 하이브, 블러트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만약 스팀에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하이브나 블러트로 이식해야 한다면 steem-python보다는 beem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입니다.
steem-python의 사용설명서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steem.readthedocs.io/en/latest/
설치/소개 등 앞부분을 읽어서 어느 정도 감을 잡은 후에, 필요할 때마다 해당되는 기능에 있는지 이리저리 찾아서 공부하는 방식으로 참고했습니다. 어플리케이션 개발 측면에서 가장 많이 보게 되는 항목은 "Transactions and Accounts"와 "Tools"입니다.
beem의 사용설명서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eem.readthedocs.io/en/latest/
여기도 마찬가지로 설치/소개 관련 부분을 읽고 나서 필요할 때마다 찾아보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개발 측면에서 가장 많이 보게 되는 항목은 "Modules" 항목 하위에 있는 "beem Modules"입니다.
양쪽 라이브러리를 모두 import해서 혼용해도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만, 가능 하다면 하나의 코드에서는 하나의 라이브러리를 택하는 것이 나중에 수정하거나 검토할 때 가독성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제 경우엔 beem 라이브러리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상태에서 steem-python으로 개발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다가 나중에 beem 라이브러리를 알게 되었고 @jsup 서비스를 블러트에서 구현하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steem-python으로 만든 @jsup 코드를 beem으로 다시 작업하느라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jSTEEM 프로젝트는 beem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블러트에서 텔레그램 챗봇 형태로 블럭체인 탐색기를 구현한 jsBLURT 프로젝트를 beem으로 개발했고, 이것을 스팀으로 이식하기 위한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이것 저것 귀찮은 작업들이 있기 하지만, 그래도 확실히 지난번에 @jsup 프로젝트를 스팀에서 블러트로 이식할 때보다는 훨씬 수월하군요.
@joviansummer의 스팀 프로젝트
스팀 증인노드를 운영중입니다. @jswit에 증인투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steemitwallet.com/~witnesses)
Comments
Post a Comment